여드름성 피부는 피지선에서 과잉 분비된 피지가 피부 표면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모공내에 축적되어 염증반응이 일어나 발생되는 문제성 피부입니다. 유전에 의해 많이 발생되며, 만성심상성좌창 이라고도 합니다.
Testosterone▶ | Dihydrotestosterone ▶ | 피지선 자극 ▶ | 피지분비촉진▶ | 모공 속 각질 비후현상 ▶ |
Micro Comedo형성 ▶ | Mature Comedo 발생 |
여드름의 발생 원인은 크게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있습니다
1. 내적요인
2. 외적요인
여드름 상태별 분류는 크게 비염증성 여드름과 염증성 여드름, 심상성 여드름, 전격성 여드름, 응괴성 여드름, 켈로이드성 여드름으로 나누어집니다. 염증성 여드름은 그 진행상태에 따라 구진농포, 낭포, 결절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비염증성 여드름(Non-inflamed acne)
① 화이트 헤드(White head)
흰색 여드름 또는 닫힌 여드름 이라고 합니다. 모공입구가 닫힌 상태로 피지가 가득 차있어 피부 표면위로 좁쌀 형태로 발생하며, 주로 뺨과 이마에 발생됩니다. 피지 분비량이 많아지면서 각질과 피지가 정체되어 생깁니다.
② 블랙 헤드(Black head)
검은색 여드름, 또는 열린 여드름이라고 합니다. 모공이 큰곳이나 코나 그 주위의 피지, 각질 덩어리가 커지며 팽창되어 피부 밖으로 밀려 나온 형태로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어 검게 변한 상태를 말합니다.
2. 염증성 여드름(Inflamed acne)
① 구진(Papule)
붉은색 여드름으로 모낭이 파열되어 있는 상태이며, 세균감염으로 혈액이 몰려 생길때부터 가려움과 발열감과 함께 통증이 동반되며 부종, 선홍색의 염증 증상을 보입니다.
② 농포(Pustule)
구진여드름이 2~3일 정도 지나면 염증이 약간 진정되는 시기로 약간의 가려움과 따끔함이 있는 상태입니다. 고름이 피부표면에 몰려 고름이 눈에 보이는 여드름으로 염증으로 인해 붉은색과 갈색을 띄고 있으며, 생길 때부터 통증이 있습니다. 또한 치유 후에도 흉터가 남을 수 있습니다.
③ 소결절(Nodule)
구진보다는 덜 붉고 크며, 여드름 상태가 딱딱하게 느껴지고 검붉은 색상을 띕니다. 통증은 적으나누르면 통증이 느껴지는 속통증이 동반되는 상태로, 시간이 지나 스스로 치유되거나 화농이 계속되며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그냥 두면 여드름이 반복적으로 재발되어 흉터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④ 낭포(Cyst)
1cm 또는 그 이상 크기의 종기성 여드름을 말합니다. 여드름 가운데 염증상태가 가장 크고 깊으며 고름이 가득 차서 말랑말랑한 느낌으로 통증은 없고 어둡고 검푸르스름한 색을 뜁니다. 종기처럼 보이고 심한 화농반응을 나타내며, 정상 피부 조직이 파괴되어 흉터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여드름 1등급 (Grade 1)
블랙 헤드와 화이트헤드가 T존 부위 등에 분포되어 있는 비염증성의 초기 여드름 단계입니다. 보통 사춘기 때 나타나는 여드름 초기 증세로 경우에 따라 호전되거나 악화되어 심각한 여드름피부로 발전할 수 있으며 적절히 관리하면 흉터없이 깨끗한 피부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2. 여드름 2등급 (Grade 2)
면포성 여드름이 세균에 의해 구진이나 농포가 발생되어 면포,구진, 농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입니다. 염증성 질환으로 인해 피부가 붉어지고 표면이 일정치 않아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단계입니다. 관리실이나 피부과가 아닌 직접 여드름을 짜는 경우 세균에 감염되어 화농성 여드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3. 여드름 3등급 (Grade 3)
구진과 농포가 악화되어 통증과 심한 염증성을 나타내는 상태로 전문의와 상담과 치료를 받은 후에 관리사에게 진정관리를 받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4. 여드름 4등급 (Grade 4)
여드름 등급 중 가장 중증의 상태로 구진, 농포, 낭종, 결절 등이 증세가 심해져 결절과 낭종이 함께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태의 여드름을 응괴성여드름이라 하는데 심한 흉터가 생길 수있으며, 치료 후에도 패이거나 솟아오르는 후유증을 남깁니다.
1. 벤조일퍼옥사이드 (Benzoyl peroxide)
2. 설파 (Sulfate)
3. 살리실산 (Salocylic acid)
4. 아다팔렌젤 (Adapalene gel)
5. 글리콜릭산 (Glycolic acid)
6. 레티노이드 (Retinoin acid)
7. 아젤레익 산 (Azelaic acid)
문제성피부 - 여드름피부의 모든것 (0) | 2020.11.24 |
---|---|
4가지 피부 타입, 유형별로 살펴보는 정의, 특징, 관리방법 (0) | 2020.11.22 |
피부의 구조와 기능 - 진피층, 피하지방층 (0) | 2020.11.21 |
피부의 형태학적 구조와 기능 - 표피층 (0) | 2020.11.20 |
본문과 관련 있는 내용으로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